2025 청년월세지원금 신청방법 / 조건 / 금액 / 대상 / 기간
본문 바로가기
금융_정보_이슈입니다

2025 청년월세지원금 신청방법 / 조건 / 금액 / 대상 / 기간

by 파이엔루나 2025. 7. 20.
반응형

 

2025 청년월세지원금 신청방법 / 조건 / 금액 / 대상 / 기간

1. 청년월세지원금 신청방법

 

월세 부담이 클 때, 정부에서 도와주는 제도가 있어요. 바로 청년월세지원금이에요. 서울시와 경기도 등 각 지자체에서 시행 중이에요. 신청은 서울주거포털(housing.seoul.go.kr) 또는 경기도 복지포털에서 가능해요. 로그인 후 온라인으로 서류 업로드까지 하면 완료돼요.신청은 어렵지 않아요. 임대차계약서, 통장사본, 소득증빙서류만 있으면 돼요. 서울시는 정해진 기간에만 받고, 경기도는 1년 내 상시 접수라 더 여유롭다는 차이가 있어요. 꼭 기간 맞춰 챙기셔야 해요.

2. 청년월세지원금 신청조건

이 지원금은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. 조건이 있어요. 서울시 기준으로는 만 19~39세의 무주택 청년 1인 가구가 대상이에요. 월세 60만원 이하, 보증금 8천만원 이하 주택에 거주 중이어야 해요. 중위소득 150% 이하도 충족해야 해요.

경기도는 만 19~34세 청년이 대상이고, 본인 소득 60% 이하, 부모 소득은 100% 이하여야 해요. 대신 청약통장 보유가 필수예요. 지원 조건은 지역별로 다르기 때문에, 꼭 본인이 사는 곳 기준으로 확인해야 해요.

3. 청년월세지원금 지원금액

서울시의 경우 매월 최대 20만원, 총 12개월 지원돼요. 생애 한 번만 받을 수 있어요. 총 240만원이죠. 경기도는 매월 최대 20만원, 총 24개월, 최대 480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.

구분 월 지원금 지원기간 총액
서울시 20만원 12개월 240만원
경기도 20만원 24개월 480만원

단, 실 계약 월세가 20만원보다 적으면 실제 금액만 지원돼요. 예를 들어 15만원만 내면 15만원까지만 지급돼요. 이 점도 꼭 기억해 주세요.

4. 청년월세지원금 대상자 확인

대상자가 되는지 미리 확인하는 게 좋아요. 서울은 중위소득 150% 이하, 경기도는 본인 소득 60% 이하 + 부모 100% 이하예요. 특히 건강보험 납부 내역</strong이나 직장가입자 여부가 주요 기준이에요. 신청 전 복지로에서 소득기준을 미리 확인해 보면 좋아요.또한 무주택 여부, 주민등록상 거주지, 계약 유형도 심사 대상이에요. 전입신고가 안 돼 있거나, 보증금이 기준 초과되면 탈락할 수 있어요. 꼼꼼히 확인하고 서류 준비하셔야 해요.

5. 청년월세지원금 신청기간 및 주의사항

서울시는 2025년 6월 11일(수) 오전 10시부터 6월 24일(화) 오후 6시까지예요. 딱 2주간만 신청 가능해요. 이후에는 받을 수 없어요. 경기도는 2024.2.26~2025.2.25까지 1년 내 상시 접수예요.

주의할 점은 주소지 변경, 월세 변동, 퇴거가 있을 때 즉시 신고해야 한다는 거예요. 그렇지 않으면 환수 대상이 될 수 있어요. 또 서울·경기 중복 신청은 불가능하니 하나만 선택하세요.


반응형